뭔 이미지를 넣어야 잘 넣었다고 소문이 날까?

ads header

세계화의 바람을 타고 세계 각 국은 무역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도모하게 되었는데, 이 이익에는 유형과 무형의 이익이 있을 것이다.

이때, 무역이 그 나라의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등의 무형의 이익을 차치하고 결산 시점의 회계적인 수지 만으로 한정한다면, 무역은 어느 정도 제로섬 게임으로 볼 수 있다. 한 나라가 그 해에 얻은 이익은 다른 나라에서 자본과 상품을 통해 금액으로 환산한 이익인데, 이 이익은 다른 나라에서 가져온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정 국가들이 어느 정도의 손실을 부담하지 않으면 다른 나라들도 이익이 클 수 없다. 그리고 그동안은 미국이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이용해서 자국민들의 과소비를 충족시키면서 이 손실 부분은 감당해왔다.

사실, 이건 미국의 손실이라고만 보기는 어려운 면이 있는데, 이렇게 발생한 손실은 결국 기축통화의 지위로 자신들의 손실을 국채라는 모습으로 외부에 수출하고, 그 나라들은 그 국채를 "우리가 달러를 이만큼이나 보유하고 있어서 안전하다. 물론, 사용하지도 않을거야." 라고 홍보하는 역할로 꾸준히 쌓아두고 있었다.

일정 수준까지는 이게 과도하다고 여겨지지 않아 유지가 되었는데, 코로나 시대가 오면서 이 상황이 급격한 변동을 맞이하게 된다. 미국은 어마어마한 유동성을 공급하며 대응하는데 안그래도 문제시 되던 국가부채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 되어 버리고 가속도가 붙기 시작한다.

거기에 기축통화의 지위에 대한 중국의 불만 등이 가세하면서 미국은 기존의 방식으로는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보인다. 

이때의 상식적인 대응이라면 미국은 자국내 증세와 과소비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자제, 그리고 뭔가 확실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효과적인 다른 대책들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그런 대책보다는 그냥 다른 나라들에게서 삥을 뜯자가 되어 버린 것이 아닌가 싶다.

문제는, 이러한 결과가 어떤 방식으로든 기존 무역 흑자국들의 흑자 폭을 줄이는 방식으로 작용할 것이고 GDP 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순수출에 영향을 크게 받는, 수출주도형 경제를 가지는 나라들의 사정을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대응의 귀결점은 결국 좁아진 시장에서 자신의 파이를 지키는 싸움이 될 것이고 그 궁극의 수단은 역시 앞선 기술이 아닐까 싶다. 

자국내 소비되는 법조와 의대가 아니라 기술이 중요시 되어야 하는 시대는 아직도 유효하고 그건 대만의 tsmc 가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너부장 이야기 10/22/2025
Read more ...

 


위 그림은 주식의 장기 투자에 대한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일 것이다.

자본주의에서 경제가 성장하는 한 자산의 가치는 장기적으로 볼 때 올라가는 것이 정상이다. 주식의 경우 개별 종목이 아니라 전체적인 지수 etf 에 투자한다면, 장기적으로는 무조건 상승한다에 걸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물론, 앞서 말했다시피, 경제가 성장한다는 전제가 있다. 그리고 이건 단순히 주식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인에게 있어서는 부동산 투자가 주식 투자보다 훨씬 안정적이다.

위 그림에서 골짜기도 있고 물도 건너야 하는 동안에 개인 투자자들은 대부분 하차할 수 밖에 없다. 실생활에서는 수술을 해야 해서 돈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어디서 사고를 쳐서, 여행을 가려고 등등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기도 하고, 주식 자체의 가격 등락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실제 장기적으로 성장한 증거로 많이 들어지는 미국 주식시장도 십여년 넘게 장기적으로 횡보한 경우도 있다.

그럼 왜 부동산이 훨씬 쉽다고 한 걸까?

부동산, 특히 주거용 부동산은 의식주에 속하는 필수품이다 보니 대부분의 개인은 1주택을 우선 마련하는게 꿈이고 그건 주거용 필수품이자 가장 큰 투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렇게 장만한 아파트(라고 가정하자)는 거래에 비용이 많이 들기도 하고, 어차피 살아야 하기도 하는 등의 여러 이유로 보통 장기로 눌러 앉기 마련이다. 

한 집에 10년 사는 것은 전혀 드믄 일이 아니지만, 어떤  etf 를 10년을 보유 한다는 것은 주변에서 거의 보기 힘들 것이다.

굳이 1주택 장기보유 혜택이 아니더라도, 구조적으로 주택은 장기보유에 해당할 확률이 많고, 결국 가장 처음에 말한, 성장하는 국가에서의 장기적인 자산 보유 요건이 자동적으로 충족되기 마련인 것이다. 

다만, 굳이 우리나라에 한정한다면 국가가 성장한다고 전국이 성장하는 시대는 이미 지난 지 오래라서, 지방은 저물어 가는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몇번이나 반복하지만, 국가 경제가 성장한다는 전제를 앞서 달았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2030년 이후 과연 성장할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메인은 인구 문제이다.)

예전에는 서울, 수도권 1주택을 친한 주변에는 권하는 편이었지만, 올해 들어서 부터 그러지 않는다. 부동산은 아무래도 장기 투자에 강제적으로 봉착하게 될 확률이 크고, 몇 년 이후의 경제에 대해서는 점점 회의적이 되어 가기 때문이다.

지금도 주로 etf 위주로 투자하고 있지만, 이제 몇 년 안으로 투자금은 저축으로 전환해갈 예정인 것도 개인적으론 그런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너부장 이야기 10/13/2025
Read more ...